티스토리 뷰
건강보험 상한 2024년 변경사항 및 영향 분석 1분정리
밀리@ 2024. 3. 11. 22:382024년 건강보험 관련 정보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건강보험 료 상한, 본인부담 상한제 사후환급금 , 그리고 보수월액 보험료와 소득월액 보험료에 대한 변화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 에 대한 이해와 변화된 내용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보건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상한
2024년 건강보험 료는 월급의 약 7%로 부과됩니다. 이는 세전 월급의 7%가 건강보험 료로 책정되며, 회사에서는 이 중 50%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실제 직장인의 보험료 납부율은 약 3.5% 정도입니다. 최대 보험료 상한은 월 보상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이번에는 약 848만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월 보상이나 급여는 약 1억 1900만원 이상이어야 월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최대 보험료 상한 |
2023년 |
약 782만원 |
2024년 |
약 848만원 |
이러한 구조는 모든 건강보험 가입자에게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며,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복지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본인부담 상한제 사후환급금
본인부담 상한제 사후환급금 은 의료비 지출이 정해진 금액을 초과할 경우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2024년 기준 소득분위별 본인부담 상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분위 |
본인부담 상한액 |
1분위 |
87만원 |
2~3분위 |
108만원 |
4~5분위 |
167만원 |
6~7분위 |
313만원 |
8분위 |
428만원 |
9분위 |
514만원 |
10분위 |
808만원 |
요양병원 입원일수가 120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한액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입원일수 초과 |
1분위 |
2~3분위 |
4~5분위 |
6~7분위 |
8분위 |
9분위 |
10분위 |
120일 초과 |
138만원 |
174만원 |
235만원 |
388만원 |
557만원 |
669만원 |
1,050만원 |
이러한 변화는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됩니다. 사후환급금 을 신청하는 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지사 방문을 통한 신청, 그리고 팩스 또는 우편으로 제출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보수월액 및 소득월액 보험료
2024년 에는 보수월액 보험료와 소득월액 보험료가 상승하게 됩니다. 특히, 초고소득 직장인의 경우 상당한 금액을 추가로 부담하게 됩니다.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수월액 보험료: 약 848만원으로 상승
- 소득월액 보험료: 약 424만원으로 상승
초고소득 직장인은 수십억 원의 연봉을 받는 사람들로, 이들은 많은 부담을 갖게 됩니다. 또한, 복수 직장을 가진 경우에는 각 회사의 보수월액에 따라 별도의 건보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2024년 건강보험 료와 본인부담 상한제 사후환급금 에 대한 변경사항은 건강보험 에 가입한 모든 국민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초고소득 직장인은 보다 많은 부담을 갖게 되는데, 이는 우리의 건강보험 제도에 대한 고민과 대안 모색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항목 |
2023년 |
2024년 |
최대 보험료 상한액 |
약 782만원 |
약 848만원 |
본인부담 상한제 사후환급금 |
소득분위별 상한액 변경 |
|
보수월액 보험료 |
약 848만원 |
약 848만원 |
소득월액 보험료 |
약 391만원 |
약 424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