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예비군, 그 용어만 들어도 군사적인 느낌이 가득합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역할은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예비군 뜻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방부 주관의 대한민국 예비군은 참가하여 향토 방위의 임무를 다짐하는 날로 1968년에 제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위한 군사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방위기본법

 

예비군의 날 의미 및 역사

예비군의 날

예비군의 날은 국방부 주관의 대한민국 예비군이 참가하여 향토 방위의 임무를 다짐하는 날로, 1968년에 제정되어 매년 4월 첫째 금요일로 기념됩니다.

 

1.21사태 (김신조 사건)

1968년 1월 21일, 북한정찰국 소속 공작원 31명이 청와대 습격을 시도한 사건으로, 이를 일명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합니다.

 

예비군 연차별 훈련

예비군은 지역예비군(동사무소)과 직장예비군(직장, 학교)으로 나뉘며 연차별 훈련이 진행됩니다.

  • 0년차: 교육 없음.
  • 1년차 - 4년차: 동원훈련 (2박3일), 동미참훈련 (2박3일 또는 32시간).
  • 5년차 - 6년차: 기본훈련 (8시간), 작계훈련 (6시간씩 2회 = 12시간).
  • 7년차 - 8년차: 미이수 훈련.

 

대학생 예비군

대학생 예비군에 참여하려면 대학 예비군 편입신고가 필요하며, 1년에 8시간 수강 가능합니다. 준비물로는 신분증, 전투복, 전투모, 군화가 필요하며, 교통비 및 식비를 포함하여 약 15,000원 정도가 지급됩니다.

 

예비군 8년 후 "민방위"

예비군은 8년 동안 훈련을 받고 준비물을 갖추게 됩니다. 이후에는 민방위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비군의 날 예비군 혜택

예비군의 날마다 혜택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병출신과 간부출신에 따라 혜택이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군사력을 보강하고 국가방위에 기여하는 예비군의 역할을 격려하고 있습니다.

' 예비군 뜻 '은 국민의 안전을 위한 군사적인 준비를 의미합니다. 국방부 주관으로 매년 4월에 열리는 예비군의 날을 통해 군사력을 강화하고 국가 방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모든 국민은 이를 알고 협력하여 국가의 안전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예비군의 날 의미 및 역사

1968년부터 시작된 예비군의 날은 국방부 주관의 대한민국 예비군이 참가하여 향토 방위의 임무를 다짐하는 날로 매년 4월 첫째 금요일로 기념됨.

1.21사태 (김신조 사건)

1968년 1월 21일에 북한정찰국 소속 공작원 31명이 청와대 습격을 시도한 사건으로 '김신조 사건'으로도 알려짐.

예비군 연차별 훈련

연차별로 다양한 훈련이 진행되며, 0년차부터 8년차까지 다양한 종류의 훈련이 있음.

대학생 예비군

대학생 예비군 참여 방법과 혜택에 대한 정보를 제공.

예비군 8년 후 "민방위"

8년 동안의 훈련을 통해 민방위 역할을 수행하는 정보 제공.

예비군의 날 예비군 혜택

예비군의 날마다 다양한 혜택이 있으며, 병출신과 간부출신에 따라 혜택이 다름.

 

 

민방위기본법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예비군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예비군 일정조회 바로가기

동원훈련 소집통지서 확인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