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노인 치과 치료, 임플란트 지원, 지자체 추가 지원 자세히 알아보세요
밀리@ 2024. 8. 13. 18:18치아는 우리의 건강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치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데요, 노인 치과 치료 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인들이 치아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지 않으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노인 치과 치료 와 관련된 최신 지원 정책과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노인 치과 치료의 중요성
노화로 인해 많은 노인들이 치아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의 노인층에서 치아 관련 질병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치과 치료비 증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2017년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 중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2위로,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비가 2,211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노인 치과 치료 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치아 문제를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더 큰 고통과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강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노인의 경우 치료 타이밍을 놓치면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로 악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사업
지원 사업 개요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사업은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치과 임플란트와 틀니를 지원하여 구강 기능 회복과 건강한 생활을 돕기 위한 정책입니다. 이 사업은 만 65세 이상의 의료급여 수급권자 를 주요 대상으로 하며, 지원 항목은 레진상 완전 틀니 , 금속상 완전 틀니 , 클라스크 부분 틀니, 사전 임시 틀니 등 다양합니다.
지원 내용
- 1종 수급권자 는 급여비용 총액의 90%가 지원되며, 본인 부담금은 10%입니다.
- 2종 수급권자 는 급여비용 총액의 80%를 지원받고, 본인 부담금은 20%입니다.
- 부가 수술 인 골이식술 등은 비급여 항목으로, 지원 제외됩니다.
- 급여 횟수는 1인당 평생 2개까지 지원 되며, 상악/하악 구분 없이 어금니, 앞니 모두 적용됩니다.
신청 방법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사업의 신청은 사전 등록제 로 진행됩니다. 보장기관에서 행복이음에 대상자를 등록한 후, 등록 정보가 건보공단 의료급여 자격 관리 시스템에 전송됩니다. 이후, 의료급여기관에서 진단 후 틀니 또는 치과 임플란트 등록 대상 수급권자에게 등록 신청서를 발급하거나, 공단 요양기관 정보마당에서 신청 대행을 합니다.
시술 전에 사전 등록이 필요하며, 사후 등록은 불가하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처
2023년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사업의 변동 사항
2023년부터는 만 65세 이상의 건강보험 가입자에게도 치과 임플란트 시술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철 재료 : PFM (금속과 세라믹을 결합한 재료)
- 임플란트 수 : 1인 평생 최대 2개까지 지원됩니다.
- 본인 부담금 : 임플란트 시술 비용의 30%를 본인이 부담하며, 예를 들어 임플란트 비용이 100만 원일 경우, 건강보험에서 70만 원을 지원하고 환자는 30만 원을 부담합니다.
- 지원 범위 : 정부 건강보험에서 70%를 지원하며, 나머지 30%는 환자가 부담합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추가 지원을 제공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경상남도에서는 지원 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지자체 추가 지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 만 55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에게 틀니와 임플란트 비용의 90%를 지원하며, 환자는 10%를 부담합니다.
- 경상남도 : 만 60세 이상의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 하위 50% 저소득층에게 틀니와 임플란트 비용을 전액 지원하며, 환자는 본인 부담금이 없습니다.
노인 치과 치료 는 건강과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023년부터 확대된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사업은 많은 노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각 지자체의 추가 지원과 함께,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 구강 건강을 잘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치아로 보다 나은 삶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