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4 기준 중위소득 변동, 지원 자격과 급여 종류 확인하기
밀리@ 2024. 8. 3. 11:552024 년 기준 중위소득 이 발표되었습니다. 중위소득 은 소득 기준을 설정하고 복지 정책을 집행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 년 기준 중위소득 의 세부 사항과 그로 인해 달라진 지원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중위소득 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실질적인 복지 지원의 변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의 변화
2024 년 기준 중위소득 은 2023년에 비해 약 6% 상승했습니다. 이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의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은 사회복지 부처에서 설정한 기준으로, 가구의 소득을 정렬한 후 중간에 위치한 소득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 위치에 해당하는 소득을 뜻합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상세
2024 년 기준 중위소득 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 2,228,445원
- 2인 가구 : 3,682,609원
- 3인 가구 : 4,714,657원
- 4인 가구 : 5,729,913원
- 5인 가구 : 6,695,735원
이 기준은 복지 정책에서 다양한 지원의 기준으로 활용되며, 특히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등의 자격 기준이 이 중위소득 을 바탕으로 설정됩니다.
중위소득 백분율에 따른 지원 기준
중위소득 의 백분율에 따라 다양한 지원 기준이 설정됩니다:
- 중위소득 47% : 중위소득 의 47%는 생계급여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중위소득 50% : 교육급여, 차상위계층 지원 기준 등으로 사용됩니다.
- 중위소득 100% : 기준 중위소득 자체를 의미하며, 많은 복지 지원의 기준이 됩니다.
- 중위소득 150% :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출산 및 육아 지원 사업 등에서 사용됩니다.
- 중위소득 180% : 청년도약계좌,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사업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기준은 복지 수혜를 받기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소득인정액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중위소득 의 일정 비율 이하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지원이 결정됩니다:
- 생계급여 :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의 32% 이하이어야 합니다.
- 의료급여 :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의 40% 이하이어야 합니다.
- 주거급여 :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의 47% 이하이어야 합니다.
소득인정액은 소득과 재산을 합산한 금액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복지 지원의 자격 여부를 판단합니다. 소득인정액의 모의계산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표
아래는 2024 년 기준 중위소득 표입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표 (소득/가구)
중위소득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7인가구 |
20 이하 | 445,689 | 736,522 | 942,931 | 1,145,983 | 1,339,147 | 1,523,674 | 1,702,999 |
30 이하 | 668,534 | 1,104,783 | 1,414,397 | 1,718,974 | 2,008,721 | 2,285,511 | 2,554,498 |
32 이하 | 713,102 | 1,178,435 | 1,508,690 | 1,833,572 | 2,142,635 | 2,437,878 | 2,724,798 |
35 이하 | 779,956 | 1,288,913 | 1,650,130 | 2,005,470 | 2,343,507 | 2,666,429 | 2,980,248 |
40 이하 | 891,378 | 1,473,044 | 1,885,863 | 2,291,965 | 2,678,294 | 3,047,348 | 3,405,998 |
43 이하 | 958,231 | 1,583,522 | 2,027,303 | 2,463,863 | 2,879,166 | 3,275,899 | 3,661,447 |
45 이하 | 1,002,800 | 1,657,174 | 2,121,596 | 2,578,461 | 3,013,081 | 3,428,266 | 3,831,747 |
46 이하 | 1,025,085 | 1,694,000 | 2,168,742 | 2,635,760 | 3,080,038 | 3,504,450 | 3,916,897 |
47 이하 | 1,047,369 | 1,730,826 | 2,215,889 | 2,693,059 | 3,146,995 | 3,580,633 | 4,002,047 |
48 이하 | 1,069,654 | 1,767,652 | 2,263,035 | 2,750,358 | 3,213,953 | 3,656,817 | 4,087,197 |
50 이하 | 1,114,223 | 1,841,305 | 2,357,329 | 2,864,957 | 3,347,868 | 3,809,185 | 4,257,497 |
52 이하 | 1,158,791 | 1,914,957 | 2,451,622 | 2,979,555 | 3,481,782 | 3,961,552 | 4,427,797 |
58 이하 | 1,292,498 | 2,135,913 | 2,734,501 | 3,323,350 | 3,883,526 | 4,418,654 | 4,938,697 |
60 이하 | 1,337,067 | 2,209,565 | 2,828,794 | 3,437,948 | 4,017,441 | 4,571,021 | 5,108,996 |
65 이하 | 1,448,489 | 2,393,696 | 3,064,527 | 3,724,443 | 4,352,228 | 4,951,940 | 5,534,746 |
70 이하 | 1,559,912 | 2,577,826 | 3,300,260 | 4,010,939 | 4,687,015 | 5,332,858 | 5,960,496 |
75 이하 | 1,671,334 | 2,761,957 | 3,535,993 | 4,297,435 | 5,021,801 | 5,713,777 | 6,386,246 |
80 이하 | 1,782,756 | 2,946,087 | 3,771,726 | 4,583,930 | 5,356,588 | 6,094,695 | 6,811,995 |
90 이하 | 2,005,601 | 3,314,348 | 4,243,191 | 5,156,922 | 6,026,162 | 6,856,532 | 7,663,495 |
100 이하 | 2,228,445 | 3,682,609 | 4,714,657 | 5,729,913 | 6,695,735 | 7,618,369 | 8,560,000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활용 예시
2024 년 기준 중위소득 은 다양한 복지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청년월세 지원, 출산 및 육아 지원 사업, 의료급여 및 주거급여 등이 기준 중위소득 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각 가구의 재정 상태와 지원 자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024 년 기준 중위소득 의 변화는 복지 정책과 지원 자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중위소득 을 통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의 자격이 결정되며, 이는 국민들의 생활 안정과 사회적 안전망 강화에 기여합니다. 중위소득 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지원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책 변화에 따라 복지 지원의 자격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