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부지원 산모도우미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신청 방법 1분정리
밀리@ 2024. 6. 20. 14:31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부지원 산모도우미 '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이 서비스는 모자보건실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장점은 정부지원 금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 바로 지원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지원 대상
'정부지원 산모도우미 ' 서비스는 전국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인 출산가정을 대상으로 지원됩니다. 예외적인 경우로는 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새터민 산모, 쌍생아 이상 출산가정, 결혼이민 산모, 희귀난치성 질환 산모,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1~3급), 만 24세 이하의 미혼모 산모 등이 포함됩니다. 지원 대상은 건강보험 납부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장기요양보험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원 내용
정부지원 금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급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 산모 식사준비 및 영양관리
- 산모 위생관리 (산모방 청소, 세탁물 관리 등)
- 신생아 돌보기 보조 (목욕, 수유 돕기, 젖병소독 등)
- 기타 가사활동 (산모 요청 시)
서비스 제공 시간
정부에서 제공하는 바우처 서비스는 1일 8시간으로 제공되며, 휴게시간 1시간이 포함됩니다. 추가 서비스의 경우 시간당 제공되며, 2시간 단위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제공 요일은 월요일부터 금요일이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제외됩니다. 서비스 제공 시간은 기관별로 상이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신청 방법
정부지원 산모도우미 서비스를 신청하시려면 다음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보건소 1층 모자보건실 방문
- 정부24 온라인 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
출산을 앞두고 계획적으로 준비하고자 하는 분들께서는 지원 내용을 확인하시고 신청해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아이돌봄서비스 제공기관(전화번호: 1577-2514)이나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구원수 및 소득 기준(150%)
가구원수 |
소득기준(150%) |
2023년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1인 |
3,117,000 |
111,677 |
50,654 |
112,823 |
2인 |
5,185,000 |
183,861 |
142,142 |
186,476 |
3인 |
6,653,000 |
237,913 |
206,359 |
242,216 |
4인 |
8,102,000 |
291,898 |
273,699 |
299,947 |
5인 |
9,497,000 |
346,067 |
335,569 |
359,887 |
출처: 정부지원 산모도우미 제공기사
정부지원 산모도우미 서비스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산후도우미 서비스로, 산모의 건강관리부터 가사활동까지 다양한 지원을 해줍니다. 지원 대상과 내용, 신청 방법 등을 알아보았는데요. 출산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는 이 서비스를 확인하시고 지원을 받아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가까운 아이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이나 주민센터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
지원 내용 |
서비스 제공 시간 |
- 전국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 출산가정- 예외 지원: 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새터민 산모, 쌍생아 이상 출산 가정, 결혼이민 산모, 희귀난치성 질환 산모,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1~3급), 만 24세 이하의 미혼모 산모(공적 자료 확인 후 지원) |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파견- 산모 식사 준비 및 영양관리- 산모 위생관리 (산모방 청소, 세탁물 관리 등)- 신생아 돌보기 보조 (목욕, 수유 돕기, 젖병소독 등)- 기타 가사활동 (산모 요청시) |
- 바우처 서비스: 1일 8시간 (휴게시간 1시간 포함)- 추가 서비스: 시간당 제공 (2시간 단위 이용 가능)- 서비스 제공 요일: 월요일~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제외)- 서비스 제공 시간: 기관별 상이 |